도메인 클래스 컨버터
DomainClassConverter
스프링이 제공해주는 컨버터인데
컨버터는 하나의 타입을 다른 타입으로 변경시키는 인터페이스다.
자동으로 컨버터 레지스트리에 들어가있고
어떤 데이터를 바인딩 받아서 컨버팅 할때 사용이 된다.
여기에 볼 크게 두가지의 Converter 가 있는데
하나는 ToEntityConverter, ToIdConverter가 있다.
엔티티를 엔티티의 아이디의 타입으로 변경하는 IdConverter
엔티티의 아이디를 받아서 엔티티 타입으로 바꾸는 EntityConverter
엔티티컨버터는 레포지토리를 찾아서 FindById 를 한다.
그래서 위 findById 코드가 자동으로 일어난다.
저 두줄을 생략할수있다.
참고) Formatter와 Converter 는 아주 비슷한데 차이점은
Formatter 는 문자열 기반. 문자열을 어떤 타입으로 바꿀것인가의 차이다.
Pageable 과 Sort
스프링은 핸들러(메소드)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메소드 파라미터들을 제공해주고있다.
거기에 추가로 확장을 할 수 있다.
아규먼트리졸버에서 제공하는 파라미터들을 확장할수있다.
스프링 데이터 JPA의 웹 기능을 사용하면
Pageable 과 Sort 를 사용할수있다.
스프링 데이터 Common 정리
스프링 데이터 Repository의 계층 구조를 봤고 (인터페이스 계층구조)
쿼리 메소드 - 메소드 이름 보고 만들기와 이름 보고 찾기 (@Value)
커스텀한 레포지토리 만드는 방법 보고
Null 과 관련된 어노테이션들 봤다.
쿼리 메소드 정의 하는방법 봤고
베이스 리포지토리를 커스터마이징 하는 방법도 봤다.
도메인 이벤트를 퍼블리쉬하는 방법과
스프링 데이터 확장 하는 방법으로
QueryDSL 사용과 웹 지원 기능 들을 봤다.
'Spring > jpa'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data jpa] spring data - jpa2 (0) | 2020.12.18 |
---|---|
[spring data jpa] spring data - jpa (0) | 2020.12.18 |
[spring data jpa] spring data jpa - common2 (0) | 2020.12.17 |
[spring data jpa] spring data - Common (0) | 2020.12.17 |
[spring data jpa] spring data jpa 소개 및 원리 (0) | 2020.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