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pring

(52)
스프링 IOC 컨테이너 연동 서블릿에 스프링 넣어보기 스프링 사용한다는 이야기는 2가지의 경우에 해당 된다. 1. 스프링이 제공하는 IOC 컨테이너를 사용한다. 2. MVC 를 사용한다는 말 먼저 우리가 만든 서블릿에서 스프링이 제공하는 IOC 컨테이너를 활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webmvc 를 추가하게 되면 거기에 해당되는 디펜던시들이 같이 설치 되게 된다 이 후 web.xml 에 스프링이 제공해주는 리스너가 있다. ContextLoaderListener 를 추가 해준다 . 이게 해주는게 뭐냐면 application Context를 서블릿 애플리케이션에 생명주기에 맞춰서 바인딩 해주는 것 (웹 어플리케이션에 등록 되어 있는 서블릿들이 application Context를 사용 할 수 있도록 서블릿 컨텍스트에 등록해준다. 종료 될때..
서블릿 리스너와 필터 Contents 서블릿 리스너 서블릿 필터 서블릿 리스너 리스너는 서블릿 컨테이너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서블릿 라이프 사이클의 변화 라던가 여러가지 에트리뷰트에 변화라던가 세션에 변화 . 이런 여러가지 이벤트에 어떤 특정한 코드를 실행해야한다. 그럴 때 사용할 수 있는 개념 크게 서블릿 컨텍스트 수준의 이벤트와 세션 수준의 이벤트로 나눌 수 있다. 서블릿 리스너로 어떤걸 할 수 있냐면 서블릿 컨테이너가 구동(톰캣)이 될 때 db 커넥션을 맺고 그 db 커넥션을 이 서블릿 에플리케이션에서 만든 여러가지 서블릿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블릿이 종료 될 때 db 커넥션을 정리 할 수 도 있다. 서블릿 필터는 어떤 요청이 서블릿에 doGet 메소드등 으로 바로 가게 되는데 doGet 으로 가기 전에 어떤 전처..
서블릿 애플리케이션 Contents 서블릿이란? 서블릿의 특징 서블릿 컨테이너 서블릿의 생명주기 서블릿이란? MVC 의 기초부터 천천히 알아보도록 하자 스프링 MVC 는 서블릿 기반의 웹 을 쉽게 만들게 해주는 프레임 워크다 이 스프링 MVC 를 알기 위해선 먼저 서블릿에 대해서 알아봐야한다. 그럼 여기서 서블릿은 무엇이냐? JAVA EE 는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용 스펙과 API 를 제공하는데, 그 api 중 하나가 httpServelet 이다. 서블릿의 특징? 서블릿은 프로세스를 만들고 죽이는게 아니라 한 프로세스를 공유하는 스레드를 만들어서 요청을 처리한다. 서블릿 컨테이너란? 서블릿 스펙을 구현한 컨테이너다 톰캣등은 서블릿 컨테이너다 . 이 톰켓등 컨테이너들은 어떻게 서블릿을 초기화 하고 실행하고 사용해야하는지 서블릿..
서블릿이란? 스프링을 알아보기 전에 서블릿이 뭔지 알아보기로 하자 Servlet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하면 그에 대한 결과를 다시 전송 해줘야 하는데 , 이러한 역할을 하는 자바 프로그램이다 Spring MVC 도 Servelet Container 가 관리하는 Servelet 이다 Servelet Diagram 요약 Diagram 정적인 페이지만을 제공하는 웹서버가 , 동적인 데이터를 제공 하기 위해 도와주는 것이 서블릿이다! Servelet 특징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해 동적으로 작동하는 웹 어플리케이션 컴포넌트 html을 사용하여 요청에 응답한다. Java Thread를 이용하여 동작한다. MVC 패턴에서 Controller로 이용된다. HTTP 프로토콜 서비스를 지원하는 javax.servlet.http.Htt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