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12) 썸네일형 리스트형 스프링 MVC 설정 - @EnableWebMvc @EnableWebMvc 를 쓰면 DelegatingWebMvc 를 impotring 한다. 저것도 설정인데, 들어가보면 이렇게 HandlerMapping도 있고, HandlerMapping 에 인터셉터도 잡혀 있고 여러 설정들이 있다. 특히, 여기를 봐보면 jackson 이 있으면 추가 설정을 하게 되어 있는데, 핸들러어뎁터에서는 들어온 요청이 json 이면 객체로 변경하고 객체면 다시 json 으로 변경 할 수 있게 하는 메세지 컨버터 설정을 하게 되는데, 여기서 잭슨이 있으면 추가 설정을 하게 되어있다. 결론! EnableWebMvc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면 DelegationWebMvcConfigurer 를 가져오는데 이걸 통해 손쉽게 설정을 할 수 있다. 여기에 우리가 추가할 설정 조금씩을 구현해서.. [Coursera Google] Datalink Layer 개별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가장 널리 사용되는 프로토콜을 이더넷이라고 한다. 이더넷과 데이터 링크 계층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인터넷, 트랜스포트 및 애플리케이션 계층은 그들이 실행 중인 장치가 어떻게 연결되어 있든지 간에 모두 동일하게 작동할 수 있다. (전송 계층이나 네트워크 계층은 물리 장치가 어떤 장치로 연결되어있던지 모두 동일하게 작동할수 있도록 데이터 링크 계층이 변환을 해준다.) 따라서 웹 브라우저는 물리장치가 트위스트 페어로 연결되어 있던지 무선 연결로 되어 있는 장치에서 실행 중인지 알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 그것은 단지 그것을 위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 아래 계층이 필요 할 뿐이다. 이번 장의 목표 1. MAC 주소가 무엇이고 컴.. [Coursera Google] Physical Layer 물리 계층의 주요 핵심은 0과 1 을 링크 한쪽 끝에서 다른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물리적 계층은 네트워크를 통해 비트를 전송하는 장치로 구성된다. 비트는 컴퓨터가 이해 할 수 있는 데이터의 가장 작은 표현이다. 1 또는 0으로 표현된다. 이 네트워크를 통해 보내지는 0 과 1이 프레임들 그리고 패킷들을 구성하게 된다. 노래를 스트리밍 하든, ATM 을 쓰는, 이메일을 보내든 상관없이 정말 하고 있는건 0 또는 1을 네트워크의 물리적 계층을 가로질러 보내는 것이다. 구리 케이블은 양쪽 끝에 연결이되면 , 일정한 전류를 가진다. 1 과 0 은 변조라 불리는 프로세스를 통해 네트워크 케이블로 전송된다. 변조는 케이블을 통해 이동하는 전압을 변화시키는 방법이다. 이 방법으로 네트워크 케이블을 통해 매초마다 .. [Coursera Google] 네트워크 device 장치들 케이블 컴퓨터가 서로 적절하게 통신할 수 있도록 많은 케이블과 네트워크 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유선 네트워크의 가장 기본적인 구성 요소가 케이블이다. 케이블은? 서로 다른 장치들을 서로 연결하여 그 장치들을 통해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하는 것이다. 오늘날 사용되는 대부분의 네트워크 케이블은 구리와 섬유 두 종류다. 구리 케이블이 네트워킹 케이블의 가장 흔한 형태다. 플라스틱 절연체 안에 여러 쌍의 동선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전압을 변화시키면서 동선을 통해 이진 데이터를 전달한다. 2번째는 광성유다. 섬유 케이블은 사람의 머리카락 너비 정도의 유리로 만들어진 작은 관인 개별 광섬유를 포함한다. 빛의 펄스를 이용해 데이터의 0과 1을 나타낸다. 훨씬 비싸고 부서지기 쉽다. 허브 케이블로 서로 다른 목적지에 네트.. [Coursera Google] OSI Model OSI(Open Systems Interconnect) 참조 모델은 컴퓨터 네트워킹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로 작용해 왔다. OSI 모델은 시스템 간 통신을 지원하는 데 필요한 기능을 논리적으로 분할하는 계층 구조를 정의한다. 7. Application: Provides different services to the application - 어플리케이션에 서로 다른 서비스들을 제공한다 6. Presentation: Converts the information - 정보를 변환한다 5. Session: Handles problems which are not communication issues - 커뮤니케이션 문제가 아닌 다른 문제들을 다룬다 4. Transport: Provides end to end comm.. [jenkins] 젠킨스 설치 및 파이프라인 생성 젠킨스란? 젠킨스는 소프트웨어의 building , testing, delivering 그리고 deploying 과 관련된 모든 종류의 tasks 들을 자동화 시켜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독립적인 오픈소스 자동화 서버 다. 젠킨스 설치 젠킨스의 기본과 젠킨스의 파이프라인을 생성해보자 로컬에서 젠킨스를 "standalone" 으로 사용해보자 - 필요사항 256MB 의 램 10GB의 드라이브 공간 Java 8 Docker 1. 젠킨스 공홈으로 가서 Jenkins 를 다운로드 한다 2. 터미널에서 다운 받은 Jenkins 파일 위치로 간 후 명령어 실행 3. 브라우저에서 8080 포트로 접속을 한다 파이프라인 생성 젠킨스 파이프라인은 기존 프리스타일 방식과는 다르게 스크립트 형태의 코드로 job을 구성할 수.. [React] Serverside rendering Loadable Component 를 이용해서 서버사이드 렌더링 틀을 잡아보자 이전 방식들은 잘 모르지만, 리엑트에서 권장하는 서버사이드 렌더링 방식으로 한번 틀을 잡아보도록 하자 먼저 필요한 라이브러리들을 설치해준다. server.tsx 컴포넌트 생성 이제 서버 전용 빌드를 만들자 webpack.config.js를 복사해서 server.js 를 생성시켜준다. 불필요한 플러그인과 코드들을 지운다 -> 나중에 github 으로 지운 내용 보기 scripts 의 build.ssr 도 복사를 하고 마찬가지로 불필요한 코드 제거 -> github에서 참고 그 후 node scripts/build.ssr.js 로 빌드 후 node ./dist/server.js 로 실행을 해보면 여기까지 서버 빌드 성공 이제 웹팩.. [React] 웹팩 - 코드 스플리팅 과정 일단 거칠게 정리 하겠음 웹팩 3의 방식인것 같다. 웹팩 4에서는 App 과 모듈코드가 나눠져서 Chunk 로 자동 생성되는듯.. 어플리케이션의 규모가 커지게 되면 용량이 커지게 되고, 로딩속도의 지연이 발생한다. 이걸 방지하기 위해, 번들 파일을 여러개의 파일로 분리 시키는 코드 스플리팅 작업을 해보자 먼저 코드 스플리팅 을 하기 위해서는 웹팩 및 바벨 환경설정을 밖으로 꺼내줘야한다. 명령어를 실행해주자 이제 웹팩 설정을 직접 할 수 있게 되었다. Vendor 이제 Vendor 설정을 해줘야 한다. Vendor 는 전역적으로 사용되는 라이브러리 파일이라고 보면 된다. webpack.config.js 파일을 봐보자 entry 포인트를 배열 [] 에서 객체 {} 형태로 변경해줘야하는데, filter 때문에..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 27 다음